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iaas-vs-paas-vs-saas
“서비스형(as-a-Service)” 이라는 용어는 제3사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드, 고객 관계 관리와 같은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각 유형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면 관리해야 할 온프레미스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온프레미스 IT 인프라를 관리할 책임은 대부분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모우 온프레미스에 위치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각 구성 요소를 관리, 업데이트 및 교체하는 업무는 사용자 및 사용자 팀이 수행해야 한다.
클라우드 컴퓨킹을 사용하면 인프라의 단일, 여러 또는 모든 부분을 제 3사가 관리하도록 할당하여 다른 중요한 사안에 집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서비스로서의 인프라(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서비스로서의 플랫폼(Platforms-as-a-Service, PaaS),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oftware-as-a-Service, SaaS)의 3가지 기본 유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옵션을 제공하며, 관리 수준이 저마다 다르다.
각 모델 유형, 장점 및 그러한 유형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하여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몇 가지 예도 알아본다.

서비스로서의 인프라 또는 IaaS는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한층 발전한 유형이다. 이는 종량제 서비스로, 필요한 경우 제 3사가 스토리지와 가상화와 같은 인프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및 런타임을 담당하고 제공업체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서버, 가상화 및 스토리지의 관리와 액세스를 담당한다.
제공업체가 사용자를 대신해 온사이트 데이터센터를 유지관리하거나 업데이트한다. 대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또는 대시보드를 통해 인프라에 액세스하고 이를 제어한다.
IaaS는 필요한 구성 요소만 구매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IaaS는 간접비가 낮고 유지관리 비용이 들지 않는 매우 경제적인 옵션이다.
IaaS는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의 구축 및 제거가 빠르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개발 환경에서 구축해야 할 인프라만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하며, 개발이 완료되면 사용을 중단하고 사용량에 대한 비용만 지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