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백엔드(Spring 위주)

[WAS와 WS의 차이]

[많은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대처하는 법]

[CORS 란?]

CORS(Cross-Origin-Resource-Sharing)란 도메인이 다른 2개의 사이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발생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a.com 에서 b.com 으로 데이터를 요청한다고 하면, 따로 설정해주지 않는 한 CORS 에러를 만나게된다.

CORS가 생기게된 이유는 서버 내에서 요청이 허락된 도메인에만 데이터를 주기 위해서인데, 요청을 허락하기 위해서는 Access-Control-Allow-Origin:{도메인}과 같은 내용을 Response의 헤더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만약 도메인을 * 으로 설정하면 모든 도메인에 대해 요청을 허락할 수 있다. 그 외에도 Access-Control-Allow-Methods, Max-Age 등을 설정해줄 수 있다.

Untitled

[아파치는 멀티 프로세스인가 멀티 쓰레드인가?]